포인트만 외워서 60점만 넘기기.
데이터베이스 - integrated data, stored data, operational data, 주소에 의한 참조 X
물리적 설계 - 응답시간, 저장 공간의 효율화, 트랜잭션 처리도
개념 스키마 -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논리적으로 정의
내부 스키마 -
외부 스키마 -
DDL - create drop alter rename
DML - select insert update delete
DCL -
inorder - 좌측, 가운데, 우측
preorder - 가운데, 좌측, 우측
postorder - 좌측, 우측, 가운데
RPN(reverse polish notation) - (2+3)*4 -> 23+4*
함수적 종속 - →
selection sort - 최소값을 찾고, 맨 앞의 값과 교체, 처음 위치를 빼고 반복
bubble sort - 인접한 두 원소를 검사하며 진행
write-through - cache write, memory write
write-back - cache write
PC
MAR
MBR -> size(PC) == size(MAR) < size(MBR)
mux - data selector, 2^n input, n selector, 1 output
demux - 1 input, n selector, 2^n output
SISD - single instruction, single data
SIMD - single instruction, multiple data
MISD - multiple instruction, single data
MIMD - multiple instruction, multiple data
0-주소 - 동작코드만 존재, 스택을 이용
1-주소 - 연산 대상 중 하나만 표현, 나머지 하나는 누산기 사용
2-주소 - 연산 대상이 되는 두개의 주소 표현
3-주소 - 2-주소 + 연산 결과 주소 표현
즉시주소 - 오퍼랜드에 실제 데이터가 있음
직접주소 - 오퍼랜드에 데이터의 주소가 있음 (메모리 1번 참조)
간접주소 - 오퍼랜드에 데이터의 포인터의 주소가 있음 (메모리 2번 참조)
마이크로 오퍼레이션 - 한 clock 동안 실행되는 동작
부동소수점 연산 - 지수비교 -> 가수조정 -> 가수합산 -> 정규화
DMA - 주기억장치 사이클의 한 주기만 정지
HDD 용량 - 디스크수*실린더수(트랙수)*트랙당섹터수*섹터당용량
주/종 처리기 - 주 프로세서가 운영체제를 수행, 입/출력, 연산 담당, 주 프로세서가 고장나면 시스템 다운, 대칭 구조 X
FIFO 스케쥴링 -
HRN 스케쥴링 - 응답률=(대기시간+서비스시간)/서비스시간 이 높은 순서
RR 스케쥴링 - 프로세스 사이에 우선순위 없이 time quantum 할당
FCFS - first come first served
SSTF - 현재 헤드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요청을 먼저 수행
SCAN - 디스크 한 쪽 끝에서 반대쪽 끝으로 이동하며 처리, 끝에 도달하면 반대방향으로 처리
C-SCAN - 디스크 한 쪽 끝에서 반대쪽 끝으로 이동하며 처리, 끝에 도달하면 시작점으로 되돌아가 처리
스레싱 - 페이지 폴트가 너무 빈번하여 CPU 효율이 나빠짐
2단계 디렉토리 구조 - 마스터 파일 디렉토리(MFD) & 각 사용자별 디렉토리(UFD)
하이퍼큐브 - 2^N
프로세스 - PCB를 가진 프로그램, 프로세서가 할당되는 실체, 프로시저가 활동 중인 것, 동기적 행위 X
기능 모델링 설계 순서 - 입출력 결정->자료흐름도 작성->상세 기술->제약사항 결정, 최소화
flexibility - 얼마나 쉽게 수정할 수 있는가
CASE -
CPM -
PERT -
3P - process, problem, people
coupling - 모듈간 상호 결합도
cohesion - 모듈 내부의 기능적 응집도 -> low coupling, high cohesion
white-box test -
black-box test -
디지털 -> 아날로그 - **K
아날로그 -> 디지털 - **M
STX - 실제 전송할 데이터 집합의 시작
DLE - 데이터 투과성
stop-and-wait - 데이터 프레임 전송시 마다 ACK를 확인
go-back-N - 데이터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, NAK를 수신하면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 부터 다시 재전송
selective-repeat -
piggyback - 따로 ACK를 보내지 않고, 데이터 프레임에 덧붙여 전송
CRC -
Hamming Code -
Parity Check -
IEEE 802.3 - CSMA/CD, LAN
IEEE 802.11 - CSMA/CA, WLAN
HDLC - 비동기식 전송 X
HDLC Unnumbered frame - 링크 설정, 해제, 오류 회복
HDLC flag - 시작과 끝을 정의
패킷 계층 -
VPN - layer 7
BGP - AS
RIP -
OSPF -
'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놀로지 DSM Docker Bridge 연결시 인터넷 안될 때 (0) | 2022.10.03 |
---|---|
중고폰 구매시 Checklist (0) | 2022.09.12 |
바이두 디스크 다운로드 (1) | 2022.09.11 |
아메리칸 투어리스터 캐리어 바퀴 자가 교체 (1) | 2022.09.11 |
U34X ForceRecon 2350 (인민에어2) 무선랜 교체 (0) | 2014.02.28 |